👟 슈톡/ShoeTalk 150
안녕하세요. 국내 최초 스니커즈 테마 뉴스레터 슈톡(ShoeTalk)의 Adi Jang입니다. 영하권에 접어드는 날씨가 시작되네요. 저는 여름보다야 겨울이 5만배 이상으로 좋습니다. 더우면 답 없음이라고 생각했는데, 에어컨이 있잖아요라는 말에 수긍할 수 밖에 없었네요. 아무튼, 저는 겨울을 더 선호한다는 이야기입니다.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슈톡 뉴스레터 #150(ShoeTalk #150)에서는 골든 구스 IPO 준비, ABC마트 : 슈즈 멀티숍 1위의 성장 전략, 슈마커의 넥스트 ‘슈마커+’, K-신발 알리는 국내 기업 : 아키클래식, MSCHF 슈퍼 베이비, 재고 쌓인 풋락커, 한국타이어 x 프로스펙스 골프화, 2023 GQ 패션 어워드, 휠라 x 떠그 클럽, BIG BOOT SEASON IS HERE, 2023 스포츠 비즈니스 어워드, 이 신발 ‘제2전성기’ 왔나, 2023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by 통계청 등을 살펴봅니다. 가급적 원문 링크를 확인해서 다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뉴스레터 슈톡 150 콘텐츠 ShoeTalk 150 Contents
골든 구스 IPO 준비
골든구스가 IPO를 준비 중이라는 소식. 은행이 평가한 골든구스의 기업가치는 약 30~40억 유로 선. 에피소드로 골든구스 IPO 대행 및 평가 업무를 따내기 위해, 약 20명 이상의 PT 발표자가(골든구스 측에 어필하기 위해) 밀라노의 골든구스 매장을 향했고 그곳에서 동종 업계 사람이 모인 것을 알고 ‘엇, 네가 왜 여기에?”라고 했다고…
ABC마트 : 슈즈 멀티숍 1위의 성장 전략
https://www.longblack.co/note/900
2022년 ABC마트코리아의 영업이익은 550억원, 영업이익률은 9.69%에 달해. 10만원짜리 신발을 팔았다 치면 1만원을 손에 쥔 거지. 이게 쉬운 거냐고? 노노. 같은 해 에스마켓은 15억원(영업이익률 1.32%), 슈마커는 18억원(영업이익률 1.78%)을 남기는 데 그쳤어. 지난 10년 평균 영업이익률을 볼까? ABC마트는 10년 평균 영업이익률이 8.04%에 달해. 에스마켓(1.93%)과 슈마커(0.65%)를 크게 뛰어넘었지.
직원을 성장시키는 시스템도 남달라. 노스펙 채용. 학력, 성별 나이 등을 보지 않고, 역량 위주로 직원을 뽑지. 그리고 현장 판매 직원을 적극적으로 본사에서 채용해. 실제로 ABC마트코리아는 임원진의 30% 이상, 팀·부장급의 40% 이상이 판매직 출신.
—
ABC마트의 전략과 조직 문화를 소개한다. 재미난게 많다. 전직원이 주말 근무를 하는 것, 다점포 전략, 의류에 힘을 싣기, 영업이익 등. 롱블랙이 재미난거 많이 다룬다. 깊게 다루지는 못하더라더 흥미유발로는 충분하다. 멋진 플랫폼.
패션포스트에서 올해 6월에 공개한 ABC마트 재무제표 엿보기도 함께 읽으면 좋다. 일본의 경영 컨설턴트가 분석한 ABC마트의 분석이라고 한다.
참고로, 에스엠케이티엔아이의 안영화 대표는 ABC마트코리아를 창업했던 인물이고 ABC마트와는 서로 안 좋게 마무리가 되었다. 2020년 12월에 발행된 슈톡 뉴스레터 2번째에 소개했던 안영환 에세이는 꼭 읽어보길 권한다. ABC마트코리아 창업과 슈마커, JD 스포츠까지 고루 담겨있는데 상당히 재미있다.
슈마커의 넥스트는 ‘슈마커+’
https://fpost.co.kr/board/bbs/board.php?bo_table=special&wr_id=1310
에이비씨마트의 선전이 이어진 반면, 여타 슈즈멀티숍 시장은 지난 몇 년간 녹록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외국 유명 멀티숍의 직진출, 특히 멀티숍 매출의 절대적인 매출 포지션을 차지하는 나이키가 DTC 전략을 강화하면서 공급에 차질이 일어났고, 이는 매각과 중단으로 이어지며 어수선한 모습이 한동안 연출됐다.
따라서 슈즈멀티숍 업계는 투자보다는 안정, 볼륨보다는 유지 정책을 고수해가며 어려운 시기가 지나가기만을 바라고 있다. 하지만 예외인 기업이 있다. 바로 슈즈 멀티숍 ‘슈마커’를 전개중인 에스엠케이티엔아이(대표 안영환, 김경호)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말 ‘슈마커플러스’를 론칭하며 투자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K-신발 알리는 국내 기업, 아키클래식
https://www.mk.co.kr/news/business/10884228
(주)올위메이크이즈가 전개하는 운동화 브랜드 ‘아키클래식’도 주목할 만하다. 아키클래식은 2007년에 론칭한 국내 운동화 브랜드로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스니커즈 패션의 중심지라 불리는 일본 시장에서의 활약이 뛰어나다. 일본의 ‘패션 중심지’인 하라주쿠와 오모테산도, 시부야를 비롯해 일본 내 850개 매장에 입점해 있으며 일본에서만 연 매출 100억을 내고 있다.
아키클래식은 일본 진출 과정에서 적극적인 ‘현지화’라는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쳤다. AKB48 멤버이자 전 아이즈원 멤버였던 혼다 히토미, 야부키나코와 화보를 찍고, 일본 유명 인플루언서 ‘치이포포’와 전속 모델을 계약하는 등 유명 셀럽들과 매거진에서 제품을 꾸준히 선보임과 동시에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였다. 이외에도 오사카 우메다 중심 번화가에 있는 복합시설 몰 ‘헵 파이브(HEP FIVE)’ 등 다양한 핫 플레이스에서 팝업 스토어를 전개 중이다.
—
단순히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아닐테고, 일본이라는 틈새 좁은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의 결과라고 본다.
MSCHF 슈퍼 베이비
https://mschf.com/shop/super-baby/ollie
대림미술관에서의 대규모 전시로 국내 힙스터의 성지로 인정받고 있다는 MSCHF의 새로운 신발 슈퍼 베이비가 발매된다. 3가지 색상, $250.
재고 쌓인 풋락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50406635810312
스포츠 신발 및 의류 판매 전문 기업 풋락커(FL)에 대해 내년에도 실적 턴어라운드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또 경제 전망 약화와 높은 재고 수준, 과도한 나이키 의존도 등을 고려할 때 투자매력이 매우 낮다는 지적이다.
- 올해 주가수익률 -39%
- 전체 매출의 64%가 나이키 : 과도한 매출 의존도
- 나이키 D2C 정책으로 풋락커에 좋은(수요가 많은) 물건 공급 줄이고 있음
한국타이어 x 프로스펙스 골프화
https://www.hankooktire.com/global/ko/company/media-list/media-detail.629540.htm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와 프로스펙스가 협업해 스파이크리스 골프화 ‘그랜드슬램82 HK’를 한정판 제품으로 출시한다. ‘그랜드슬램82 HK’는 프로-스펙스의 인기 상품인 ‘그랜드슬램82’의 어퍼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국타이어의 고성능 레이싱 타이어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고무 컴파운드를 아웃솔(밑창)에 활용해 일반 운동화의 밑창보다 더욱 뛰어난 접지력과 마찰력을 자랑한다.
2023 GQ 패션 어워드
https://www.gq.com/story/2023-gq-fashion-awards
GQ가 선정한 올해의 스니커즈는 JJJJound 협업으로 불이 붙었던 아식스 젤 카야노 14를 선정했다. 덕분에 일반판 젤 카야노 14도 판매량이 상승했다고…
Maverick of the Year로는 제리 로렌조(Jerry Lorenzo)가 선정됨. 대략 혁신적인 디자이너라고 해석하면 될듯. 의례적인 정기 컬렉션 공개도 없고, 외부 투자자금 유치도 없고, 자신만의 길을 가는 덕분에 선정된듯. 멋지구먼.
휠라 x 떠그 클럽
https://www.fila.co.kr/collabo/view.asp?seq=1567
THUG CLUB과의 협업 제품으로 선보이는 REPLICA는 2002년 FILA에서 처음 출시된 오리지널 제품을 바탕으로 재해석 하였으며 힐 부분에 적용된 THUG CLUB을 상징하는 TC 로고와 측면 몰딩 디테일은 THUG CLUB만의 감성을 나타냅니다.
REPLICA의 오리지널 디자인은 당시 포뮬러 원 레이싱카의 형상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유선형의 실루엣과 갑피 전반에 사용된 에나멜 소재가 특징이며 측면 몰딩 파트는 포뮬러 원 레이싱카의 공기역학적인 실루엣과 FILA를 대표하는 FLAG 로고를 형상화하였습니다.
—
휠라와 떠그 클럽이 신발, 의류, 모자 등 다양한 협업 모델을 선보인다. 신경 많이 쓴듯. 뿔 달린 드래곤 부츠 모델이 재미있는데, 협업이라서 이런 시도하는거 너무 좋다. 요런거 인정. 그리고 떠크클럽 유튜브 계정으로 쇼츠 영상이 올라왔다. 요런 감성과 퀄리티의 영상까지 만들줄은 몰랐는데, 재미있네. 발매일은 12월 1일.
BIG BOOT SEASON IS HERE
https://www.highsnobiety.com/p/best-winter-boots/
Highsnobiety가 셀렉한 겨울을 위한 부츠 모음. 괜찮은거 많다.
2023 스포츠 비즈니스 어워드
https://spobiz.kspo.or.kr/front/www/trend/view.do?board_id=30002&topMenuSeq=3¬ice_seq=4568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스포츠 비즈니스 저널이 선정한 2023 어워드를 가공했다. 원문은 여기로 추정.
이 신발 ‘제2전성기’ 왔나
https://www.mk.co.kr/news/business/10883810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수입·판매하는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어그(UGG)는 올해 10월1일~11월16일 부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다. 2000년대 초반 유행했던 어그가 다시금 트렌디한 제품으로 떠오르면서 전성기가 이어지는 것.
—
추위를 앞두고 어그 신발 판매량 급증 ㅎㅎ
2023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by 통계청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40400&bid=214&act=view&list_no=428190
통계청 오피셜: 의류‧신발 지출은 11만 6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7% 감소, 직물 및 외의(-5.1%), 신발(-5.2%) 등에서 지출 감소.
적어도 슈톡 구독자 %name%님은 해당사항이 아니라고 봅니다만… 아, 직구 물품은 통계에 안 잡히지 않나? 고로, 감소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언론에서는 의류와 신발이 생활에 필수적이지 않아서 소비를 줄였다고 하는데, 신발이 필수가 아님 뭐가 필수인가?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