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
– RTFKT Studios
2021년 12월, 나이키 Nike가 인수를 발표한,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는 2019년부터 SNS를 통해 스니커즈를 테마로 한 디지털 콘텐츠를 공개하며 인지도를 쌓아온 크리에이터 집단이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 구성된 이들은 2019년부터 디지털 아트워크를 기반으로 2D, 3D, AR, VR, VFX, Composite(영상 합성)에서의 능력을 선보이며 스니커즈 씬에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2020년 1월, 코로나 19 팬더믹 COVID-19 Pandemic으로 비대면과 재택 생활이 길어지기 시작하면서 (그들에 의하면)예정보다 앞서, 정식으로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라는 회사를 만들고 본격적인 사업을 벌인다.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는 제법 괜찮은 실력을 지녔고 준수한 퀄리티를 선보인다. 사실, NFT 씬 뿐만 아니라 디지털 아티스트, 그래픽 디자이너, 모션그래퍼, 영상 디자이너 등 매우 뛰어는 크리에이터들이 정말 많다(세상은 넓다, 잘난 사람들이 많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가 전세계의 주목을 받은 이유 몇 가지를 짚어보자면. 그 어느 때보다 가장 많이 주목을 받고 있는 스니커즈/신발 Sneakers를 테마로 하고, 스튜디오 창업을 알리면서 일종의 매니페스토에 가까운 포스팅 Born on the metaverse은 타이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메타버스 세계관 중심을 내세웠다는 것, 블록체인 BlockChain과 대체 불가능 토큰 NFT/Non-fungible token 기술의 이해도와 활용, 디스코드 Discord를 통한 자체 커뮤니티 구축, SNS를 메인으로 하는 활발한 활동 등이 있다.
– Fun & Cool
무엇보다 이들은 유머 감각 있고 Z세대가 좋아할 Cool & Fun한 결과물을 선보였다. 매우 독특한 디지털 스니커즈 Digital Sneakers를 디자인하고-하지만 모두가 그 신발의 영감의 원천을 알 수 있을… 모두가 인정하는 레전드 신발들의 요소를 끌어온다. 그래서 빠르게 이해하고 함께 즐길 수 있다, 신어보지 못하는 신발이라도-, 이를 영상에 합성해서 가상의 신발을 제법 그럴듯하게 만들었다.
영화와 CF와 같은 매우 정교한 합성 영상과 디테일이 뛰어난 3D 그래픽이 아니더라도 이들의 아이디어와 쿨함이 더해져 NFT와 스니커즈 씬에서 주목을 받았다. 아이언맨을 컨셉으로 한 나이키 신발, 스마트폰 어플로 색을 변형시키는 사이버 나이키 신발 등 모두가 한번씩 생각해봤을 그런 모습들을 그래픽 영상으로 만들었으니 모두가 환호할 수 밖에.
이후 이들은 렉서스 Lexus, NZXT, 아타리 Atari, 무라카미 다카시 Murakami Takashi, 제프 스테이플스 Jeff Staples 등 여러 브랜드와 아티스트와 협업을 진행했다. 특히나, 일본의 앤디 워홀이라 불리며 일본의 대표적인 네오팝 아티스트 무라카미 다카시(Takashi Murakami)는 먼저 인스타그램 DM으로 아티팩트 스튜디오에 러브콜을 보냈다.
그리고 2021년 3월에는 NFT 스니커즈 600개를 7분만에 $310M(약 35억 원)어치를 팔아치워 레거시 미디어의 관심을 받으며 일반 대중들에게도 화제가 된다. 2021년 12월에는 나이키의 깜짝 인수가 진행된다.
나이키의 RTFKT 스튜디오 인수 NIKE, Inc. Acquires RTFKT
– 나이키는 디지털 비즈니스에 진심이다 NIKE Digital Business
2021년 12월 13일, 나이키 오피셜 뉴스 웹사이트에서는 나이키의 RTFKT 스튜디오 인수 NIKE, Inc. Acquires RTFKT 소식을 공식화했다. 나이키는 인수 소식을 공식 뉴스룸을 통해 공개하면서 GIF 움짤 이미지를 하나 공개했는데, 나이키-조던-컨버스에서 나이키 Nike, 조던 Jordan, 컨버스 Converse, RTFKT로 3개에서 4개의 기업으로 변하는 내용이다.
107KB의 용량, 1초 남짓의 GIF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나이키가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의 기업 가치를 어느 정도로 바라보는지 대략 짐작 할 수 있다. 그동안 나이키가 인수한 기업은 대략 콜한 Cole Haan과 컨버스 Converse만 떠오를 정도로 기업 인수에 적극적인 곳은 아니다(그렇게 적극적인 M&A가 필요한 산업군이 아니기도…).
정말 놀라운 일이다. 창업 2년이 되지 않은 소규모의 기업을 나이키-조던-컨버스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인정해준 것. 나이키는 실물 신발도 아닌 가상의 신발을 만든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를 어떤 잠재성을 보고 인수한 것일까?
본격적인 디지털 비즈니스와 메타버스(Metaverse)의 세계에 발을 들이고 있는 나이키의 성장 동력에 필요한 필수 인력인 크리에이터의 확보, 경험력을 높이 산 것이다. 한번에 따라가지 못할 바에야 M&A를 통한 기업 인수로 내 것을 만드는게 빠르고 더 확실한 방법이다.
나이키 NIKE는 아티팩트 RTFKT를 자사의 미래의 포트폴리오, 주요 축이자 하나의 브랜드로 삼았다. 그러니까 나이키는 메타버스 MetaVerse와 NFT, 디지털 비즈니스에 진심이라는 거다.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1위 나이키는 그 어떤 브랜드보다 한발 빠르게, 아니 두 걸음 이상 앞선 선택을 했다.
2019년 나이키는 블록체인으로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크립토킥스 CryptoKicks 특허를 냈었고, 2021년 말미에 아티팩트 스튜디오를 인수해 디지털 비즈니스에 대한 큰 그림을 완성중이다.
“This acquisition is another step that accelerates Nike’s digital transformation and allows us to serve athletes and creators at the intersection of sport, creativity, gaming and culture,”
나이키 최고 경영자, 존 도나호 Nike CEO John Donahoe
– 2021 스니커즈 산업 씬의 최고 빅딜 Big Deal: NIKE x RTFKT
공동 창업자 3명 : 브누아 파고토 Benoit Pagotto, 크리스 레 Chris Le, 스티븐 바실레프 Steven Vasilev가 의기투합해서 만든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는 창업 2년도 되지 않아 그들이 꿈꾸는, 모든 스니커헤드가 선망하는 드림 컴퍼니 나이키 Nike의 전격 인수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만들어냈다.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가 나이키의 오퍼를 거절 할 수 있었을까? 인수 금액은 공개가 되지 않았지만, 나이키는 상당한 거액과 창작 활동에 자유를 약속했을테다. 전세계 스니커헤드가 사랑하고 아티팩트 스튜디오 창업자들 역시 최고로 좋아하는 바로 그 나이키 Nike의 부름이 아닌가? 어찌 거절할 수 있으랴?
2021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NFT, 디지털 자산과 마켓, 메타버스 Metaverse를 언론이 앞다투어 다루었지만 아직은 장벽이 있다. 글로벌 브랜드 나이키의 RTFKT의 인수 소식은 스니커즈 씬과 산업군에서 디지털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켜, 일반 대중들에게도 이쪽 세계를 알리고 그 허들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었다.
다소 아쉬운 것은, 개인적으로는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중 손꼽히게 좋아했던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를 공룡 나이키가 인수해서 김빠지고 재미 없어졌다. RTFKT가 더 크기도 전에, 이들의 활약이 더 과감하고, 정점으로 향해가는 가던 참에 나이키가 확~~~ 채가는 느낌.
나이키가 너무 다해먹는 그런거. 적어도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가 나이키를 인수해야 재미있는데 말이야. 그래야 임팩트도 상당하고 모두가 놀랄 일이 펼쳐지는데.
그래도 나이키의 아티팩트 인수 Nike Acquires RTFKT Studios는 글로벌 1위 회사가 선택한 현실과 디지털 세계의 융합, 2021년 스포츠 산업 씬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빅딜(Big Deal: NIKE x RTFKT)로 기록되었다.
‘We want to be the brand of the metaverse’
RTKFT’s Co-Founder Chris Le
아티팩트 스튜디오 이모저모 RTFKT Studios ETC.
– 어떻게 발음해야하나?
Artefact / Artifact : 인공물, 공예품 / 인공적인 피조물을 뜻하는 말. 신이 만든(곧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피조물인 creature와는 달리, 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인위적으로 형성된 물건. : 서브컬처에서는 주로 어떠한 문명의 힘에 의해 만들어진 유물이라는 의미로 사용. from 나무위키
– 양덕후들의 모임, RTFKT Team
아티팩트 스튜디오(RTFKT Studios)의 3명의 공동 창업자 브누아 파고토 Benoit Pagotto, 크리스 레 Chris Le, 스티븐 바실레프 Steven Vasilev는 게임(게임 스킨)과 e스포츠 분야(e스포츠 선수, 스트리머, 콘텐츠 크리에이터)에서 패션 쪽의 컨셉과 디자인을 제공해온 경력을 갖고 있다. 조금 더 살펴보자면.
브누아 파고토 Benoit Pagotto는 영국을 중심으로 한 e스포츠 프로 게임단 프나틱(Fnatic/Fanatic Esports)에서 마케팅 디렉터로,, 크리스 레 Chris Le는 카운터-스트라이크 Counter-Strike 게임의 스킨 디자이너로, 스티븐 바실레프 Steven Vasilev는 디지털 마케팅과 스니커즈 전문가로 활동했다.
이들이 공개한 첫번째 미디엄 아티클 Born on the Metaverse에서는 자신들의 소개가 친절하게도 적혀있는데, 애니메이션과 게임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다. 디아블로 Diablo, 하프라이프 Half-Life, 마인크래프트 Minecaft 게임을 즐겼으며,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Dragonball, 에반게리온 Evangelion, 아키라 Akira와 영화 스타워즈 Starwars에 영향을 받았고, 포켓몬 Pokemon, 유희왕 카드 등을 수집하거나 거래한 경험이 있다.
We see ourselves as the new age Supreme, for a digital audience.
RTFKT Studio
그러니까 기성 세대가 싫어할 만한 것들, 약간의 비주류/매니악한 경험과 문화를 자양분으로 삼아 아티팩트 스튜디오(RTFKT Studios)가 만들어진 셈이다. 오타쿠(otaku, 御宅)의 양키 버전? 그러니까 한마디로 이들은 서브컬처를 제대로 받아들인 양덕후들, 역시 덕 중의 덕은 양덕!!! 그것도 월드클래스로 성장한 양덕후.
이들의 말로는 2040년 즈음 프로젝트를 시작하려 했으나, 코로나 19 펜더믹 상황이 이를 앞당기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창업을 하고 나이키에 인수되는 초대박 홈런을 날린다.
– GFR 펀드의 시드 투자 Seed Fund from GFR Fund
RTFKT Studios는 2012년 8월, e스포츠, 게임, 미디어, VR/AR 등의 분야에 투자하는 GFR 펀드 GFR Fund로부터 $1.5M(약 18억 원)의 시드 투자를 받는다. GFR 펀드는 일본의 가장 큰 미디어 방송 및 게임 제작사 그리 GREE.INC에 소속된 투자사다.
RTFKT Studios는 힙합과 애니메이션, 밈(meme), 비디오 게임 문화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듯이 이들의 배경에는 일본 문화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일본 투자사가 투자해주니 이들은 감사할 수 밖에.
GFR 펀드는 크립토, 블록체인 사업 분야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는 VC인데, 덕후의 오리지널인 일본인들이 보아도 아티팩트 스튜디오가 매력적이라고 판단했을테다. 덕후가 덕후를 알아보는, 서로가 서로를 알아보는 그런 관계라고 해야하나?
세상 일은 모른다. 지금 빌보드를 석권하고 강한 팬덤을 자랑하는 방탄소년단 BTS, 세계적 유행의 한 흐름으로 자리잡은 케이팝 K-POP과 K-컬처가 잘 뿌리내려 10년, 20년 후에 어떻게 다시 되돌아올지 상당히 기대된다. 문화의 힘은 이만큼 강하다. 국경도 없다.
– VC 앤더슨 호로비츠로부터 8백만 달러 투자 유치 RTKFT raises $8M in funding from Andreesen Horowitz/a16z
2021년 4월, RTKFT를 눈여겨본 유명 VC 앤더슨 호로비츠 Andreesen Horowitz/a16z는 8백만 달러(약 93억 원) 시드 투자사로 참여한다.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 Netscape를 만들었던 마크 안데르센 Marc Andreessen이 운영하는 VC 앤더슨 호로비츠 a16z는 가장 성공적인 실리콘밸리의 투자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들의 포트폴리오는 페이스북 Facebook, 트위터 Twitter, 인스타그램 Instagram, 에어비앤비 Airbnb, 스카이프 Skype, 깃허브 Github, 리플 Ripple, 서브스택 Substack, 인스타카트 Instacart, 피그마 Figma 등이 있고, 최근에는 웹 3.0 Web 3.0, 암호화폐, 블록체인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전세계의 내노라하는 서비스와 회사에 투자해온 VC 앤더슨 호로비츠의 선택을 받았고, 2021년 비트코인 Bitcoin과 이더리움 Etherium의 사상 최고가 기록, 대체 불가능한 토큰 NFT Non-Fungible Token, NFT과 탈중화금융 DeFi의 급격한 팽창이 전세계를 강타하면서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의 몸값과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 든든한 커뮤니티 RTKFT 디스코드 Discord – RTFKT Hub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는 대부분의 NFT 크리에이터들이 사용하는 디스코드 discord로 커뮤니티를 구축했다. 자신들과 관심사가 비슷한 전세계의 2D/3D 아티스트와 디자이너, 개발자, 일반 팬들이 어울려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
디스코드에 참여한 멤버들은 아티팩트의 든든한 팬이자 열렬한 후원자다. 멤버들은 자신이 제작한 디지털 파일들을 공유하고, 본인의 기술들 모션그래픽, 2D/3D 디자인, 영상 편집, VFX 등을 소개하며 시너지를 낸다.
실제로, 아티팩트 스튜디오가 만드는 디지털그래픽들은 렌더링 시간이 1~2일 정도가 걸릴 수가 있는데, 이때 디스코드의 커뮤니티 멤버들이 도움으로 해결했다고 한다. 아마 기술적으로 이슈를 해결해주거나 멀티 렌더링으로 도와주거나 한듯.
RTFKT 디스코드에는 2021년 초 기준으로 약 1천 명? 정도의 회원이 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2022년 3월 4일 기준으로 다시 살펴보니 참여 멤버만 15.6만 명으로 많이 늘어났다.
RTKFT Discord 주소는 https://discord.com/invite/rtfkt
아티팩트 스튜디오 프로젝트 RTFKTS Studios Project
– 아이언맨 스니커즈 First sneaker creation, Iron man
아티팩트 스튜디오가 처음으로 공개한 디지털 스니커즈는 아이언맨 Iron Man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다. 그떄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 Avengers Endgame(2019)의 인기가 절정이던 때라 등장하는 캐릭터를 베이스로 스니커즈를 공개하려고 했다.
당연히 디즈니에서는 이들에게 저작권을 허락할리가 없고-디즈니는 저작권에 상당히 민감한 곳이다… 라고 들었습니다-, 아이언맨에게서 영향이 있는 정도로 제작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저 인물이 니콜라스 케이지가 아니냐라는 이야기가 많이 오갔다고 한다. 나만 그렇게 생각한게 아니네.
– RTFKT x WAX AR Demo
RTFKT Studios는 2019년 블록체인 기반 게임 아이템 거래 플랫폼 왁스(WAX)와 협업을 진행했다. 이들은 증강현실(AR)을 이용하여 가상의 스니커즈들을 만들어냈고 블록체인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했다.
– FEWOCiOUS x RTFKT
https://opensea.io/collection/fewocious-x-rtfkt
2021년 3월 초, 18살의 크립토 아티스트 FEWOCiOUS와 RTFKT Studios가 협업하여 제작한 디지털 스니커즈 NFT FEWOCiOUS x RTFKT를 판매 시작 7분만에 $310M(약 3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총 3가지 종류의 NFT 스니커즈 600개 이상을 팔았고, NTF를 구매한 일부 사람들에게 실물 스니커즈도 배송되었다. 실물 스니커즈의 후기는 잘 모르겠다. 별로인듯.
이들의 NFT 스니커즈 판매 성공 소식은 큰 화제였고, 매스미디어의 관심을 받았다(역시 돈이 벌려야 주목하는). 아티팩트 스튜디오의 창업자 Benoit Pagotto, Steven Vasilev, Chris Le join는 미국 경제 금융 전문 TV 채널 CNBC에 출연해 자신들의 비전을 나누는 인터뷰를 진행한다.
– 아티팩트 x 제프 스테이플 메타 피존 RTFKT x Jeff Staple Meta-Pigeon
2021년 5월, 아티팩트 스튜디오는 그 유명한 스니커즈 씬의 큰 형님이자 디자이너로 활약하는 제프 스테이플(Jeff Staple/@jeffstaple)과 함께 NFT 프로젝트 아티팩트 x 제프 스테이플 메타 피존 RTFK을 발매한다.
스니커즈 씬에서 손꼽히는 인물 제프 스테이플은 2005년 150족을 발매한 비둘기가 그려진 나이키 덩크 SB 로우 스테이플 NYC 피죤을 만들어낸 장본인으로, 뉴욕 경찰이 구매자를 집까지 모셔다 주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현재 그 신발은 현재 7천만 원 이상의 리셀가를 기록하고 있는데 그냥 부르는게 값.
아티팩트 스튜디오는 그 전설을 만들었던 나이키 덩크 스테이플 NYC 피존 Nike Dunk SB Low Staple NYC Pigeon을 오마주로 NFT를 만들었다. 제작기간은 약 2개월이 넘었는데, 아티팩트가 제프 스테이플에게 스케치를 보내고 컨펌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아티팩트 x 제프 스테이플 메타-피존 RTFKT x Jeff Staple Meta-Pigeon 컬렉션에는 사이버 비둘기 Metapigeon VR와 스니커즈 2개, 총 3가지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었다. 구매를 희망한다면 오픈씨에서 검색하면 된다.
참고로, 첫 NFT 발매가는 비둘기가 $1, 스니커즈가 $500와 $2,021 였다. 지금은 to the moon… 아래의 프로모 영상은 나이키 덩크 스테이블 NYC 피존이 발매될 때의 뉴스 영상을 넣었는데 참 재미있다. 꼭 보시길.
– RTFKT Studios x NZXT
2021년 1월, 미국의 컴퓨터 케이스 및 쿨링 솔루션 전문 제조 회사 NZXT와 RTFKT Studios와의 협업을 진행했다. 아티팩트 스튜디오는 스니커즈 모양의 컴퓨터 케이스를 제작했다.
– 아티팩트 x 렉서스 IS 350 RTFKT Studio x Lexus 2021 IS 350 F Sports
2021년 2월, 2021년형 렉서스 IS 350이 공개되면서 RTFKT와의 협업 프로모션 스니커즈가 공개되었다. 공개된 프로모션 영상에서는 RTFKT 스튜디오가 렉서스 IS 차량에 영감을 받아 스케치부터 모델링, 샘플링과 실제 제작까지의 진행 과정을 영상으로 공개했다.
그동안 디지털파일로만 볼 수 있던 RTFKT 스토디오의 작업을 실물 스니커즈로 볼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미드솔을 보면 아디다스의 카만다(adidas Kamanda) 스니커즈를 베이스로 했다. 기본 모델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해서인지 아티팩트가 공개한 스니커즈 중에 퀄리티가 제일 나아 보이는…
– 일론 머스크, 싸이버 스니커 Elon Musk, CYBERSNEAKER
2018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열린 멧 갈라(MET Gala)에서 테슬라 Tesla의 CEO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뮤지션 그라임스(Grimes)와 함께 등장해 큰 화제였다. 매번 화제를 이끌고 있는 일론 머스크도 보통 사람이 아닌데, 그라임스 또한 대중 음악과는 거리가 먼 스타일을 추구하는 뮤지션이기 때문.
그런데, 이 때 촬영된 사진에 아티팩트 스튜디오가 합성을해서 장난치고, 테슬라의 사이버트럭 Cybertruck에 영감을 받은 사이버스니커 Cybersneaker를 제작했다. 슈퍼레어를 통해 발행된 Cybertruck NFT는 30Ξ($11,357), 약 30 이더리움에 판매되었다. 구매자는 20,600 이더리움에 판매한다고 올려놨었는데 지금은 가격이 안 보인다.
이더스캔 Etherscan에서 사이버스니커 NFT 거래의 트랜잭션을 살펴보면 판매된 시기가 2020년 10월 13일로 확인되는데, 이때 업비트 기준으로 1Ξ가 약 42만 원, 30 이더리움이니 약 1,260만 원 정도였다. 지금은 이더리움의 가격이 대폭 올라서 2022년 3월 4일 기준으로 1Ξ가 340만 원 선이다. 판매한다는 가격 20,600이더리움은 700.4억 원… 물론 지금은 판매 가격이 미노출 상태.
칸예 웨스트 Kanye West, 지금은 Ye로 개명. 칸예 웨스트가 한창 대선 진출을 선언하고 홍보 중일 때 일론 머스크와의 만남이 있었는데, 이때 사진을 또 합성해서 재미를 준다.
– 아타리 x 아티팩트 스튜디오 스니커즈 Atari x RTFKT Studios “ATARI SNEAKER SHINY ltd edition”
2021년 3월 11일, 세계 최초의 비디오 게임인 퐁을 만들고 세계 최초의 비디오 게임회사로 기록된 아타리 Atari는 아티팩트 스튜디오 RTFKT Studios와의 협업 NFT를 발행한다. 아타리가 만들었던 게임에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ATARI SNEAKER SHINY ltd edition라는 타이틀로 슈퍼레어 Superrare를 통해 판매되었다.
– 아티팩트 스튜디오 x 무라카미 다카시, 클론 X RTKFT Studios x Takashi Murakami, CLONE X
아티팩트 스튜디오(RTFKT Studios)가 2021년 11~12월 사이에 민팅, 프리세일, 퍼블릭 세일로 공개한 3D 아바타 프로젝트 클론 X CLONE X는 일본의 아티스트 무라카미 타카시(村上 隆Takashi Murakami)와 함께한 메타버스 Metaverse 프로젝트다. 앞으로의 나이키-RTFKT의 미래 사업 방향성이 200% 반영된 메타버스 프로젝트.
무라카미 다카시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takashipom의 프로필 이미지를 클론X로 제작된 자신의 아바타로 바꾸었는데, 먼저 아티팩트 스튜디오 측에 인스타그램의 DM으로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자고 제안했다고 한다. 일본 문화에 무척 친숙한 아티팩트 스튜디오는 무라카미 타카시의 DM에 무척 놀랬고 의기투합한 결과물이 바로 클론 X(Clone X)다.
클론 X는 총 2만 개의 랜덤으로 제작된 3D 아바타가 NFT로 발행되었고 오픈씨(OpenSea CLONE X – X TAKASHI MURAKAMI)에서 판매되었으며 현재는 완판된 상태다. 마침 이 프로젝트가 공개되던 때에 나이키의 인수 소식이 맞물리며 NFT 가격이 상승했다.
아티팩트 스튜디오의 클론 X CLONE X 프로젝트는 3D 소프트웨어 회사인 Daz 3D와 함께했다. 다즈 3D Daz 3D 프로그램이 캐릭터 제작과 렌더링에 좋다는 평이 있던데,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Daz 3D에서 3D 아바타 제작에 유용한 PFP Utility Kit을 제공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아티팩트의 이전 작업들과 다르게 훨등히 높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보여준다.
로드맵에서는 2022년 3D Valult라고해서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활용가능하도록 3D 파일을 다운로드 제공해준다. 캐릭터 오리지널 파일이 있으니 다양한 메타버스 세계에 맞게 약간의 커스텀만 진행하면 똑같은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클론 X 프로젝트의 웹사이트 https://clonex.rtfkt.com는 꼭 방문해보길. BGM도 그렇고, 일본 애니메이션의 영향이 느껴지는데, 일단 사이트를 멋지게 잘 만들었다.
– with 나이키 : RTFKT – MNLTH
나이키의 아티팩트 스튜디오 인수 후에 발표된 협업 프로젝트 중 하나로 정확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MNLTH이라는 이름이 붙은 프로젝트다. 박스 안에 무언가가 들어있을지 참 궁금한데, 이 때문에 미개봉 효과로 오픈씨에서 현재 4.75 이더리움($12,930.69)의 가격이 책정되었다.